9개월 아기

9개월 아기가 할 수 있는 단어는 뭐가 있을까? (음절연습을 양육자가 도와주세요)

notion0876 2024. 11. 8. 08:20

9개월 아기들은 아직 말을 유창하게 하진 못하지만, 몇 가지 단어를 비슷하게 흉내 내며 발음하기 시작할 수 있습니다. 보통 이 시기의 아기들은 다음과 같은 단어들을 반복하며 말해보려고 시도합니다:

  1. “엄마” - 엄마를 지칭하는 소리로, 아기들이 가장 먼저 발음할 수 있는 단어 중 하나입니다.
  2. “아빠” - 아빠를 부를 때 쓰는 소리로, 'ㅂ' 발음이 쉽기 때문에 많이 사용해요.
  3. “빠이” - 간단한 인사말로, 흔히 손을 흔들면서 "빠이빠이"라고 할 수 있어요.
  4. “맘마” - 음식을 가리킬 때 사용하는 단어로, 음식이나 우유를 뜻하기도 합니다.
  5. “아” - 강아지, 고양이 등 동물을 가리키면서 “아아” 같은 소리를 낼 수 있습니다.
  6. “바바” - ‘바다’, ‘바구니’ 등과는 무관하게 재미로 소리를 흉내내면서 나오는 음절이기도 해요.

이러한 단어들은 아기가 실질적인 뜻을 이해하기보다는, 소리를 흉내 내는 데 집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 아기가 말하는 소리에 반응해주고, 뜻을 설명하며 응원하면, 언어발달에 긍정적인 자극을 줄 수 있습니다.

 

 

 

9개월 아기의 언어 발달을 돕기 위해 간단한 음절 연습 예시를 소개할게요. 이 시기의 아기들은 모음과 자음을 조합한 짧은 음절을 통해 발음 연습을 하며 말을 배워가기 시작합니다. 자주 사용되는 모음과 자음을 활용해 다음과 같은 음절을 반복적으로 연습해보세요:

  1. "마, 마, 마" - 엄마를 떠올리게 하는 '마' 소리는 아기가 쉽게 따라 할 수 있어요.
  2. "바, 바, 바" - '바'는 발음하기 쉽고, 아기들이 많이 좋아하는 소리 중 하나입니다.
  3. "다, 다, 다" - 아기에게 친숙한 발음으로, 다양한 상황에서 반복할 수 있습니다.
  4. "아, 아, 아" - 단순한 모음 소리인 '아'는 아기가 쉽게 따라하며 감정을 표현하기도 좋아요.
  5. "까, 까, 까" - '까'는 아기들이 소리 내기 쉬운 발음이며, 관심을 끌기 좋습니다.
  6. "빠, 빠, 빠" - '빠'는 아기들이 듣고 따라하기 좋은 소리예요.
  7. "나, 나, 나" - 친숙한 발음으로, 아기가 흥미를 보일 가능성이 큽니다.

이 음절들은 놀이와 함께 자연스럽게 아기와의 대화에서 활용하면 더욱 효과적입니다. 예를 들어, 아기가 웃을 때 "아~" 소리를 따라 하거나, 음식 시간을 "바바바, 맛있어!" 식으로 응용하는 식으로 즐겁게 발음 연습을 할 수 있습니다.

 

 

 

9개월 아기들이 성인의 단어보다 옹알이와 같은 단순한 소리에 더 반응하는 이유는 연구에서 밝혀진 바 있습니다. 아기들은 어른의 정교한 언어보다 단순하고 반복적인 소리를 더 쉽게 인식하고 모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. 특히 다음과 같은 근거들이 있습니다.

  1. 단순한 소리에 대한 선호: 아기들은 자신의 발달 단계에 맞는 음절을 더 잘 이해하고 모방하려고 하기 때문에 옹알이와 같은 단순한 소리에 반응하는 경향이 높습니다. 이 시기 아기들은 모음과 자음을 조합하는 초기 단계에 있어, 음절 반복에 익숙한 소리일수록 반응이 좋아요.
  2. 사회적 피드백 효과: 연구에 따르면, 아기들은 자신이 내는 옹알이에 부모가 관심을 보일 때 긍정적인 반응을 느끼며 더 많이 옹알이를 하려고 합니다. 부모가 옹알이 소리에 즉각적으로 반응할 경우 아기들은 소통이 이루어지는 경험을 하며, 이런 반복적인 상호작용이 아기 뇌의 언어 발달에 중요한 자극을 제공합니다.
  3. 음운 인식 발달: 아기들은 아직 단어의 의미를 완전히 이해하지 못하므로, 발음하기 쉽고 자신이 소리 낼 수 있는 음운(예: ‘마마’, ‘바바’)에 더 잘 반응합니다. 연구에서는 특히 아기들이 이런 단순한 음운에 더 흥미를 보이며 이를 반복하는 것을 통해 발음을 익히고 점진적으로 언어를 배우게 된다고 설명합니다.
  4. 인지 발달 특성: 언어 발달 연구에 따르면 아기들은 자신의 발음에 유사한 소리를 쉽게 인지하고 더 주목한다고 합니다. 성인의 복잡한 문장보다는 자신이 쉽게 모방할 수 있는 단순한 음절을 더 잘 기억하고 반응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.

이처럼 아기들이 옹알이 소리에 반응을 잘하는 이유는 그들의 언어 및 인지 발달 단계에 적합하기 때문입니다.

반응형